우리가 맑은 날에 실외에 나가면 따뜻한 이유는 햇빛 때문입니다. 낮만 되면 우리가 항상 마주하는 햇빛! 이번 글에서는 햇빛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햇빛의 구성
갑자기 날씨가 흐려져 소나기가 온 뒤 구름이 살짝 걷히고 해가 다시 뜨면 맞은편에 만들어지는 일곱 색깔 무지개를 모두 몇 번씩은 보셨을 겁니다.
햇빛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빛 중에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(Visible Light)이 공기 중의 작은 물방울들에 의해 분산(Dispersiom) 되어 빨주노초파남보 7가지 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.
분산은 각 빛이 파장에 따라 굴절율이 달라지면서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인데 추 후 별도 글에서도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. 이와 같이 햇빛은 한 가지 빛이 아닌 여러 가지 파장의 빛, 즉 광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광인 것입니다.
파장에 따른 빛의 특성
가시광선
햇빛의 파장에 따른 에너지 분포를 그래프 표현하면 아래와 같은데 먼저 앞에서 무지개로 설명드린 가시광선은 우리의 누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는 광선입니다.
보라색 빛이 380nm의 가장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고 빨간색이 780nm로 가장 긴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. 여기서 nm는 나노미터(Nano Meter)로 10억 분의 1 미터의 크기를 말합니다.
나머지 빛들의 파장은 380nm~780nm 사이의 값을 갖게 되며 전체 햇빛 에너지의 40% 정도를 차지하나 계절이나 지구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그 값은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자외선
그다음 설명할 빛은 자외선(Ultra-violet Rays)인데 보라색보다 짧은 파장 즉 380nm 보다 파장이 짧은 빛을 의미합니다.
파장이 짧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흡수가 매우 잘 되는데 에너지가 높아 물리적, 화학적 손상과 변형을 일으키므로 사람의 피부나 물체 표면에 아주 해롭습니다. 그래서 살균 장치에 사용되기도 합니다.
다행스럽게도 오존층에서 대부분 흡수되고 지표면에서는 전체 햇빛의 약 5% 정도의 비중으로 크게 감소합니다.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을 통제하고 오존층을 보호하자는 엄청난 활동들이 있는 것입니다.
피부에 암을 유발하기도 하고 외부에 칠해진 페이트를 변색시키기도 하는 매우 위험한 빛이기 때문에 이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. 선블록, 선글라스, 틴팅 등이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을 위한 상품들입니다.
적외선
다음은 우리에게 좋은 일을 해주는 빛으로 알려진 적외선(Infra-red Rays)입니다.
빨간색의 파장 780nm 보다 큰 파장을 갖는 빛으로 역시 우리 눈으로 볼 수 없으며 투과율이 높고 열작용이 특징입니다. 햇빛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빛으로 약 55%의 비중입니다.
숯불에 고기를 구우면 더 맛있는 이유와 찜질방이 건강이 좋은 이유 모두 투과율이 높은 적외선이 깊숙이 들어가서 열작용을 해주기 때문이며 각종 의료기기에 적외선 렘프가 많이 활용되는 것도 동일한 이유입니다.
그 외의 장파장/단파장 광선
끝으로 적외선 보다도 파장이 더 긴 광선들은 전자레인지나 라디오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라디오파가 있으며 자외선 보다 훨씬 짧은 광선은 의료 기기나 검사 장치에 사용되는 X선, 감마선 등이 있습니다.
[과학] - 일상에서 배우는 원심력 - 구심력, 원리, 응용까지 쉽게 설명
일상에서 배우는 원심력 - 구심력, 원리, 응용까지 쉽게 설명
물리 법칙은 관련된 공식만을 생각한다면 따분하지만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그 원리를 생각하면 나름 재미있습니다. 이 번 글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물리, 원심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
tech.awesome-i.com
'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상에서 배우는 원심력 - 구심력, 원리, 응용까지 쉽게 설명 (3) | 2025.07.13 |
---|---|
마찰력이란? 우리의 일상과 자동차 안전 장치까지 활용하는 과학 원리 (5) | 2025.07.05 |
뉴턴의 운동 법칙 쉽게 이해하기 – 관성, 가속도, 작용 반작용 완벽 정리 (5) | 2025.06.14 |